본문 바로가기

초중고 공부/역사

(32)
청동의 시대, 문자로 남은 기억 – 은나라 이야기 목차 하나라를 무너뜨리고 새 시대를 열다 기원전 1600년경, 강력한 지도자 탕(湯) 왕은 하나라를 무너뜨리고, 황허(황하) 강 중상류 지역에 은나라, 또는 **상나라(商)**를 세웁니다. 새로운 나라의 사람들은 마을을 중심으로 토성을 쌓고, 목책을 둘러 방어 시설을 갖춘 성을 만들며 체계적인 도시 생활을 이어갔습니다.제사와 청동, 하늘과 연결 은나라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일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하늘의 뜻을 두려워하고 경외했기에, 왕은 제사를 통해 하늘과 소통하는 특별한 존재로 여겨졌습니다. 이런 제사에는 청동기로 만든 크고 무거운 솥이나 그릇이 사용되었으며, 무려 높이 1미터, 무게 86kg이 넘는 청동 솥도 만들어졌을 만큼 청동기 제작 기술은 정교하고 발달되어 있었습니다. ..
중국 역사의 출발. 삼황오제의 영웅들 신화에서 문명으로 목차 삼황오제, 신화 속에서 피어난 문명의 씨앗 중국의 역사는 마치 전설처럼 시작됩니다. **삼황오제(三皇五帝)**라 불리는 인물들은, 아직 나라가 세워지지 않았던 태고 시대의 지도자들로, 중국인들은 이들이 미개한 세상을 문명으로 이끈 영웅들이라고 여겼습니다. 비록 이들은 실존 인물이라기보다는 신화적인 존재로 알려져 있지만, 중국 고대 문화와 가치관의 뿌리를 보여주는 인물들이기도 합니다. 삼황(三皇)의 가르침- 복희씨는 도구를 만들어 사냥을 가능하게 했고,- 신농씨는 농사짓는 법과 약초를 활용한 의술을 가르쳤으며,- 수인씨는 불을 발견하고 다루는 법을 알려주었다고 전해집니다.이들은 자연과 공존하며 생존하는 지혜를 사람들에게 전해주었고, 그 가르침은 후대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오제(五帝)의 다스림- **황..
아리아인의이동 카스트제도 인더스문명의 멸망 목차 유목의 민족, 아리아인의 남하 지금으로부터 약 3,500년 전, 기원전 1500년 무렵, 중앙아시아의 드넓은 초원을 누비던 유목민 아리아인이 남쪽으로 이동을 시작합니다. 그들은 말을 능숙하게 타고, 철제 무기를 사용해 강력한 군사력을 자랑하며 인더스강 유역으로 밀고 들어왔습니다. 이미 이곳에 자리 잡고 있던 인더스 문명을 밀어내고, 아리아인들은 목축과 농경에 바탕을 둔 새로운 삶을 정착시키기 시작했지요.자연 속 신을 노래하다 – ‘베다’의 탄생 아리아인들은 자연을 신처럼 여기고 숭배했습니다. 하늘, 불, 물, 바람, 태양 등 자연의 힘을 찬양하는 노래를 지어 전해왔는데, 그것이 바로 **‘베다(Veda)’**입니다. 베다는 단순한 찬가 모음이 아니라, 자연신에 대한 믿음과 의식, 그리고 아리아인들의..
물에 대비한 벽돌도시 인더스 문명 사람들 목차 강이 키운 문명, 인더스의 시작 기원전 2500년경, 인더스강 주변의 기름진 평야에서 인더스 문명이 꽃피기 시작했습니다.처음에는 작은 마을들로 시작되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정교한 도시로 발전하며 찬란한 문화를 이룩했지요. 강은 그들에게 단순한 자연이 아니라, 삶과 문명을 가능하게 하는 생명의 원천이었습니다. 사람들은 강에서 물을 끌어와 농사를 짓고, 도시를 짓는 데에도 강물을 활용했습니다.물에 대비한 지혜, 구운 벽돌 건축 인더스 문명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바로 구운 벽돌로 지어진 도시입니다. 장마철이면 불어난 강물에 대비해, 건물의 바닥은 항상 지면보다 높게 쌓았고,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벽돌은 불에 구워 단단하게 만들었습니다. 이 벽돌은 가로가 세로보다 두 배 정도 긴 직사각형 모양이었고,..
이집트사람들이 만드는 미라 목차 영원한 생명을 향한 사유의 시작 아프리카 북동부, 사막의 나라 이집트는 태고적부터 건조한 기후를 간직해온 땅이었습니다.이런 환경 속에서 사람들은 모래 위나 부드러운 암반에 구멍을 파고, 죽은 이의 팔다리를 오므린 채 옆으로 눕혀 묻는 풍습을 이어왔습니다.그 과정에서 시신은 자연스럽게 미라로 변하곤 했습니다. 그들이 미라를 마주할 때, “죽음 이후에도 삶은 계속된다”는 생각은 단순한 믿음을 넘어, 영원의 개념으로 발전해갔습니다.몸 속에 깃든 생명의 정수, '카이' 고대 이집트인들은 인간의 육체에 ‘카이(Ka)’라는 영혼이 존재한다고 믿었습니다.이 카이는 생명력을 부여하는 존재로, 사람이 숨을 거두면 육체를 떠나 잠시 머무르다, 미라가 부활하면 다시 그 몸속으로 돌아온다고 여겼습니다. 그러므로 육체의 ..
왕가의 계곡에서 발견된 거대 피라미드 투탕카멘 목차 고왕국 시대, 거대한 피라미드의 빛과 그림자 고왕국 시대의 이집트는 거대한 피라미드 건설의 전성기였습니다. 파라오들은 죽은 뒤에도 위엄을 유지하고 싶어 했고, 그 바람은 하늘을 찌를 듯한 피라미드로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너무나도 눈에 띄는 이 무덤은 도굴꾼들의 표적이 되기 쉬웠습니다. 피라미드 내부에는 도굴을 방지하기 위한 가짜 통로도 만들었지만, 완공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묻어두었던 보물들이 약탈을 당하기 시작했지요. 결국, 크고 웅장한 피라미드의 모습이 오히려 도굴꾼을 불러들이는 원인이 되어버린 셈입니다.도굴을 피해 숨은 무덤, 왕가의 계곡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파라오들은 이제 더 이상 크기보다는 안전한 무덤을 원하게 됩니다. 그래서 중왕국 시대 이후, 사람들의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을 택하게..
이집트 파라오, 피라미드 거대한 무덤 목차 이집트, 비가 오지 않아도 강이 넘쳤던 땅 이집트는 일 년 동안 내리는 비가 겨우 30mm에 불과할 만큼, 비가 거의 오지 않는 나라입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6월 중순이 되면, 나일 강 상류 지역에서 물이 넘쳐흐르며 강이 범람하곤 했지요. 이 물은 천천히 주변 땅으로 퍼져 나갔다가 다시 빠졌고, 물이 빠진 뒤의 땅은 농사를 짓기에 아주 알맞은 비옥한 땅으로 바뀌었습니다. 이집트 사람들은 이러한 기적 같은 일을 파라오의 힘 덕분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파라오를 신과 같은 존재로 섬기며,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표현했답니다.파라오와 피라미드에 담긴 믿음 이집트 사람들은 이 세상의 풍요로움이 내세까지 이어지기를 간절히 바랐습니다. 그래서 미라를 만들어 죽은 이의 영혼이 다시 돌아와 새로운 삶을 살 수 있..
나일 강과 함께 꽃피운 이집트 문명 목차 나일 강이 빚어낸 위대한 문명 고대 이집트 문명은 생명의 강, 나일 강을 따라 형성되었습니다. 척박한 사막 한가운데에서도 사람들이 정착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나일 강이 매년 범람하며 비옥한 토지를 제공했기 때문입니다. 우기가 시작되면 강물은 넘쳐흘렀고, 물이 빠진 후에는 농사짓기 좋은 기름진 땅이 남았습니다. 이러한 환경 덕분에 이집트인들은 농업을 발전시킬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크고 작은 마을이 형성되었으며, 결국 강력한 국가로 성장하였습니다.이집트의 통일과 국가의 형성 나일 강 상류에는 누비아라는 왕국이, 하류에는 여러 작은 왕국들이 생겨났습니다. 그러던 중 기원전 3000년경, 상이집트의 메네스(나르메르) 왕이 이집트를 최초로 통일하며 강력한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그는 멤피스를 ..